CS 정리
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
MOON달
2023. 3. 27. 12:57
728x90
반응형
브라우저란?
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크롬, 사파리, 파이어폭스 등을 의미한다.
브라우저는 유저가 선택한 자원을 서버로 부터 받아와서 유저에게 보여준다. 자원은 html 문서, pdf,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를 띌 수 있으며 자원의 주소는 URL(Uniform Resource Identifier)에 의해 정해진다.
렌더링이란?
개발자가 작성한 문서(html, css, javascript)를 브라우저에서 그래픽 형태로 출력하는 것
브라우저 렌더링 과정
1. 서버로부터 넘겨받은 html, css 파일 다운로드
2. Parsing : DOM / CSSOM 생성
- Parsing 단계는 HTML 파일을 해석하여 DOM(Document Object Model) Tree를 구성하는 단계이다
- 연산과 관리가 용이하도록 Object Model로 만들게 된다
- HTML은 DOM을 생성한다 (문서 마크업의 속성 및 관계 포함
- CSS는 CSSOM 을 생성한다 (요소가 렌더링될 때 어떻게 표시될지에 대한 내용)
3. Attachment : Render Tree 구축
- Parsing 단계에서 생성된 DOM Tree와 CSSOM Tree를 매칭시켜서 Render Tree를 구성한다
- Render Tree : 스타일 정보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화면에 표시되는 노드들로 구성되어 있다
(예) display: none; ☞ 화면에 어떤 공간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render tree에서 제외
visiblity: invisible; ☞ 요소가 눈에 보이지 않을 뿐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render tree에 포함
4. Layout : Render Tree 배치
- Render Tree를 화면에 어떻게 배치해야 할 것인지 노드의 정확한 위치와 크기를 계산
- 브라우저의 뷰포트 내에서 각 노드들의 정확한 위치와 크기를 계산
- 루트부터 노드를 순회하면서 노드의 정확한 크기와 위치를 계산하고 Render Tree에 반영한다
- %, vh, vw 등 상대적인 위치나 크기의 속성은 실제 화면에 그려지는 px 단위로 계산되어 변환된다
+ 뷰포트(viewport)란?
웹페이지가 브라우저 화면 상에 실제로 표시되는 영역
5. Paint : Render Tree 그리기
- Layout 단계에서 계산된 값을 이용해 Render Tree의 각 노드를 화면상의 실제 픽셀로 변환
- 스타일이 복잡할수록 Paint 시간도 늘어난다.
6. Composit
- Paint 단계에서 생성된 레이어를 합성하여 실제 화면에 나타낸다.
- 우리는 화면에서 웹 페이지를 볼 수 있다.
리렌더링
- Reflow
- 어떤 이벤트나 액션에 따라서 html 요소의 크기나 위치가 바뀔 경우에 그에 영향을 받는 자식/부모 노드들을 포함하여 Layout 단계를 다시 수행
- 윈도우 resizing
- 노드의 추가 또는 제거
- 요소의 위치, 크기 변경
- 폰트 변경, 이미지 크기 변경
- Repaint
- Render Tree에 그려주는 paint 과정을 다시 그려주는 것
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!
https://d2.naver.com/helloworld/59361
728x90